React의 Memoization

2022-02-14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은 컴퓨터가 동일한 계산을 반복해야 할 때, 이전에 계산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서 동일한 계산을 하지 않도록 하여,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보통 애플리케이션의 최적화를 위해 사용된다.


React에서 컴포넌트가 렌더링하는 규칙에는 크게 세 가지가 존재한다.

  1. state나 props가 변경되었을 때
  2. forceUpdate()를 실행했을 때
  3. 부모 컴포넌트가 렌더링 되었을 때

애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커지면서 리렌더가 점점 더 잦아진다면 이는 서비스 사용에 불편을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리렌더가 일어나지 않도록 최적화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React에서 메모이제이션을 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useCallback, useMemo, React.memo가 있다.


useCallback

const memoizedCallback = useCallback(() => {
  doSomething(a, b);
}, [a, b]);

useCallback은 메모이제이션 된 콜백을 반환한다.

컴포넌트 내부에 있는 위치해있는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마다 다시 함수를 생성한다. 하지만 useCallback으로 감싸주게 되면 첫 렌더할 때에만 생성하고 그 이후에는 함수를 기억하고 있어 재생성하지 않는다.

dependency 배열에는 어떠한 값이 변경되었을 때 다시 생성해준다는 뜻으로 새로운 값으로 함수를 실행해야 한다면 반드시 그 값을 해당 의존성 배열에 넣어줘야 한다.

useMemo

const memoizedValue = useMemo(() => computeExpensiveValue(a, b), [a, b]);

useMemo는 메모이제이션 된 값을 반환한다.

렌더링하는 과정에서 특정 값이 바뀌었을 때만 계산을 실행하고, 원하는 값이 바뀌지 않았다면 이전에 계산한 그 값을 그대로 사용한다. useCallback과 마찬가지로 dependency 배열에 값을 넘긴다.

React.memo

// 방법 1
const Result = React.memo(() => {
  return ()
})

// 방법 2
export default React.memo(Result)

React.memo는 컴포넌트를 감싸서 사용하며, 들어온 props의 값이 바뀌었다면 해당 컴포넌트의 렌더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props만 받는 자식 컴포넌트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Class 컴포넌트에는 PureComponent가 존재하며, React.memo와는 달리 props와 state의 얕은 비교를 하는 shouldComponentUpdate와 비슷하다. PureComponent는 하위 컴포넌트에 대한 props를 갱신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자식 컴포넌트들이 순수한지 확인해야 한다.

간단한 코드로 보는 사용 예시

1시간 안에 끝내야 할 todo 리스트를 만드는 앱이며, 코드는 아래와 같다.

App.tsx
import { useState, useMemo } from 'react';
import Title from './components/Title';
import { getAvgPerHour } from './utils/index';

const App = () => {
  const [list, setList] = useState<string[]>([]);
  const [todo, setTodo] = useState<string>('');

  const onChange = (e: React.ChangeEvent<HTMLInputElement>) => {
    setTodo(e.target.value);
  };

  const onSubmit = (e: React.ChangeEvent<HTMLFormElement>) => {
    e.preventDefault();
    setList([...list, todo]);
    setTodo('');
  };

  const avgPerHour = getAvgPerHour(list);

  return (
    <>
      <Title title="1시간 안에 끝내야 할 업무들" />
      <div>
        <form onSubmit={onSubmit}>
          <input value={todo} onChange={onChange} />
        </form>

        <ul>
          {list.map((value, index) => (
            <li key={index}>{value}</li>
          ))}
        </ul>
        <div>하나당 최대 걸려야할 시간: {avgPerHour}</div>
      </div>
    </>
  );
};

export default App;
components/Title.tsx
import React from 'react';

interface TitleI {
  title: String;
}

const Title = ({ title }: TitleI) => {
  console.log('Title 렌더');
  return <h1>{title}</h1>;
};

export default React.memo(Title);
utils/index.ts
export const getAvgPerHour = (totalList: string[]) => {
  console.log('getAvgPerHour 함수');
  if (totalList.length === 0) {
    return 0;
  }
  return 60 / totalList.length;
};
화면

만들어진 화면

가장 큰 문제점은, input에 값을 입력할 때마다, getAvgPerHour()와 Title 컴포넌트에서 console이 찍히다는 것이다.

input에 값을 입력할 때에는 list의 값이 변경되지 않고, Title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렌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avgPerHour는 useMemo로 감싸주어 이전에 기억하고 있던 값과 다르지 않다면 그 값을 재사용하는 것으로 바꾸고, Title은 props로 들어오는 값이 달라지지 않는다면 렌더를 하지 않도록 React.memo로 감싸주면 된다.

App.tsx
const avgPerHour = useMemo(() => getAvgPerHour(list), [list]);
components/Title.tsx
const Title = ({ title, obj }: TitleI) => {
  console.log('Title 렌더');
  return <h1>{title}</h1>;
};

export default React.memo(Title);

이렇게 하면 input에 값을 입력해도 console이 찍히지 않는다.

그렇다면 useCallback은 언제 사용할까? 이건 함수의 재생성을 막아주는 것이기 때문에 console로는 바로 확인이 어렵다.

App.tsx
const onChange = useCallback((e: React.ChangeEvent<HTMLInputElement>) => {
  setTodo(e.target.value);
}, []);

useCallback은 컴포넌트가 리렌더 될 때 함수의 재생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useCallback으로 감싸준다면 첫 렌더할 때만 생성하고, 이후에는 저장된 값을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한다.


하지만 모든 곳에서 useCallback, useMemo를 사용하면 메모리 성능상 좋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것들은 언제 적용해야 할까?

dependency 배열의 참조 타입 처리 (참조동일성)

위에서 dependency 배열에 넘기는 값은 모두 원시 타입일 경우이다.

React는 얕은 비교를 하기 때문에 원시 타입은 판단 가능하지만, 참조 타입은 렌더가 될 때마다 참조 메모리 주소가 달라진다. 따라서 우리가 보기에는 같은 값이더라도, React는 다른 값으로 인지하여 렌더를 일으킨다.

App.tsx
const App = () => {
  const person = { name: 'kmj' };

  return (
    <>
      <Title title="1시간 안에 끝내야 할 업무들" person={person} />
    </>
  );
};
components/Title.tsx
import React, { useEffect, useRef } from 'react';

interface TitleI {
  title: String;
  person: {
    name: string;
  };
}

const Title = ({ title, person }: TitleI) => {
  console.log('Title 렌더'); // 렌더될때마다 console에 찍힘
  return (
    <>
      <h1>{title}</h1>
      <p>작성자: {person.name}</p>
    </>
  );
};

export default React.memo(Title);

만약 이처럼 Title 컴포넌트에 person이라는 참조 타입을 넘기게 된다면, 아무리 React.memo로 감싸고 있더라도 React는 다른 값으로 인식하여 계속 console이 찍히는 것을 볼 수 있다. 때문에 넘겨줄 때, useMemo를 통해 person의 이전 값을 기억해두면 된다.

App.tsx
const person = useMemo(() => {
  return { name: 'kmj' };
}, []);

이는 useMemo, useCallback, useEffect 그리고 모든 커스텀 훅에도 해동되는 내용이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