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12, 2020
최초의 인터넷은 단순한 정보 전달만 가능했지만 점차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고, 최근은 개인 맞춤형 콘텐츠 및 서비스 제공 시대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웹의 동작 원리도 바뀌었다.
웹(World Wide Web, WWW)은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정보를 공개 및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다. 웹은 크게 세 가지 특징이 있다.
*프로토콜 : 프로토콜은 5개의 계층으로 나뉘는데, 위로 갈수록 사용자(클라이언트)와 가까운 작업을, 아래로 갈수록 기계와 가까운 작업을 담당한다.
이 다섯 가지의 프로토콜을 조합하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나 기기를 처리할 수 있다.
WEB 1.0
WEB 2.0
WEB 3.0
2010년 이후, PC 뿐만이 아니라, 모바일, 태블릿 등 1인 1단말기가 보편화 되면서 개인화, 맞춤화 등의 인식이 생겼다. 컴퓨터 역시 시맨틱 웹(Semantic Web) 기술을 이용해 웹 페이지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사용자에게 맞춤형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https://www.html5rocks.com/en/tutorials/internals/howbrowserswork/
https://d2.naver.com/helloworld/59361
웹 서버는 HTTP의 요청/응답을 처리하여 사용자들이 보고 싶어하는 정적인 페이지(ex. HTML, 파일, 이미지, 비디오 등)를 제공하거나 로그인, 회원가입 같은 사용자 인증을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Web Server에는 Nginx(ex. Dropbox, Netflix, Wordpress.com 등), Apache HTTP Server가 있다.
https://www.educative.io/edpresso/web-server-vs-application-server
Web Application
웹 애플리케이션은 웹상에서 단순히 동적으로 페이지를 출력하는 것 보다, 웹에서 특정 업무를 처리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소스 파일을 특정 파일로 변환, 회사 실무 관리나 DB 관리, 혹은 HTML5 Canvas를 이용한 게임 등이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Web Server와 WAS의 가장 큰 차이는 동적 데이터(비즈니스 로직) 처리 가능 여부이다.
https://www.educative.io/edpresso/web-server-vs-application-server
WAS는 Web server에 Application servers가 추가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웹 서버 대신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동적인 데이터를 처리해주는 미들웨어이다.
대표적인 WAS에는 Apache Tomcat, Glassfish 등이 있다.
RFC3875 - The Common Gateway Interface(CGI) Version 1.1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 공용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필요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다.
https://networkencyclopedia.com/common-gateway-interface-cgi/
웹 서버는 동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요청을 CGI 프로그램에 넘긴다. CGI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동적으로 페이지를 처리한 후, 해당 결과를 다시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가장 대표적인 CGI로는 게시판, 설문조사, 회원가입 같은 폼(form)이 있다. 폼은 사용자들이 HTML로 서버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고, 제출하면 작성한 내용이 서버로 전송 되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GET, POST 메서드 사용 가능)
다시 말해 웹 서버는 정적 페이지에서 바뀌지 않으며, 데이터를 수정(생성)해서 응답하고 싶은 것을 CGI 프로그램이 해준다. 폼 작성하는 것 외에도, 파일 목록을 보여 준다거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해서 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Web Server + CGI vs. WAS
Web Server에서 CGI 프로그램을 통해 동적 처리가 가능하다고 했다. 그렇다면 WAS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CGI는 하나의 요청을 하나의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처리한다. 따라서 동일 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늘어날 때마다, 계속 프로세스가 생성되기 때문에 CPU나 메모리 같은 자원이 금방 한계에 도달한다.
반면 WAS는 동일 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여러 개인 경우 1개의 프로세스에 요청된 개수만큼 스레드가 생성되어 처리하기 때문에 메모리 절약이 가능하다.
Docker로 cra+nginx, express 서버 띄워보기 (Github repo)
공식 홈페이지에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
이라고 나와 있다.
Node.js는 웹 서버가 아니지만 직접 HTTP 서버를 작성하면 웹 서버를 띄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그러나 일일이 Node.js로 웹 서버에 필요한 기능을 짜면 해야할 것이 너무 많기 때문에, Node.js의 프레임워크 Express, Koa, Hapi 등을 사용하면 보다 더 간단하게 웹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Node.js는 한 번에 한 가지 일밖에 처리하지 못하므로 간단한 작업은 괜찮지만, CPU 부하가 큰 프로젝트(ex. 암호화폐 채굴)를 진행할 경우 과부하가 올 수 있기 때문에 NginX 등 다른 웹 서버를 연결해야 한다.
// http 모듈 import
const http = require('http')
// http 서버 객체 생성, request 이벤트가 발생하면 response를 반환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function(req, res) {
// 정상적으로 값을 리턴하면, 컨텐츠 타입은 text, html 형태로 화면에 출력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
// res.write의 첫 번째 인자는 클라이언트로 보낼 데이터, HTML을 보낼 수도, 버퍼를 보낼 수도 있음
res.write('<html><body><p>Homepage</p></body></html>')
// res.end는 응답을 종료하는 메서드. 만약 인자가 있다면, 그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보내고 종료
res.end()
})
// http 서버 객체를 5000 포트로 전달하여 서버 실행
server.listen(5000)
console.log('Node.js web server at port 5000 is running')
Node.js로 서버 띄워보기 (Github repo)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