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ember 30, 2021
회고를 공개적으로 쓰는 건 처음이라 많이 어색하다. 항상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지금까지 미루어왔다. 아직 문체랑 형식은 정하지 못해서 읽을 때 통일감이 없을 수 있는데, 아마 다른 글보다는 프리하게 하지 않을까 싶다 :)
실력은 크게 늘지 않은 채, 2021년이 지나간 것 같아 조급함이 있었다. 그래도 정리해보니 꽤 많은 일을 한 것 같아 나름 뿌듯하다.
사실 개발자로 전향하고 회사 운이 좀 없었다. 첫 번째 회사는 3개월, 두 번째 회사는 4개월 정도 다니다 모두 내부적인 이슈로 퇴사를 했고, 3월에 현 회사로 이직했다.
이전에는 주로 혼자 프로젝트를 하다 보니 나도 인지하지 못하는 안 좋은 습관(ex. 나만 알아볼 수 있는 변수명, 순수함수 사용 안 하기, mutable 한 방식 등)이 많이 있었는데, 같이 맞춰가면서 협업하기 좋은 동료가 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입사 후 팀 내 개발 문화와 회사 복지가 점점 좋아지고 있다. 내년에도 지금처럼 점점 더 좋아지는, 성장하는 팀으로 만들어가고 싶다.
사회생활 기간에 비해 여러 회사에서 일해보니, 내가 만족하면서 다닐 수 있는 기준이 어느 정도 세워졌다. 동시에 절대 오래 다니지 못할 기준도 생겼으며, 그 기준은 아래와 같다. (법에 어긋나는 조건은 제외했다)
놀랍게도 여기에 거의 다 해당하는 회사도 있었다. 물론 회사가 아무리 좋아도, 같이 일하는 사람이 최악이라면.. 음..
팀장님 덕분에 하반기부터 채용에 관여할 수 있게 되었는데, 어렵다. 커뮤니티나 여론에 알려진 개발자 초봉 XXXX만원, 주 xx시간 근무, 100% 재택근무 등 때문인지, 원래도 적었던 지원자가 더 줄어든 것 같다. (사실 나도 가고 싶다…)
전에는 몰랐으나 서류, 면접에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시간과 체력이 소모된다. 채용 절차가 도중에 중단되는 상황은 자주 일어나지만, 가장 허무했던 적은 면접 노쇼다. 다른 곳에 합격했다면 서로를 위해 최소한의 연락은 해주자..
합류 후에 신규 입사자분이 팀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온보딩을 진행해야 하는데, 팀이 바쁠 경우 잘 봐주지 못해서 어떻게 밸런스를 유지해야 할지도 고민이다. 항상 막내였던지라, 누군가를 알려주는 이 상황이 낯설고 잘하고 있는지 계속 생각해보게 된다.
작년에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책을 사고 한 번 훑긴 했으나 대충 넘긴 부분도 많고, 이해하지 못한 부분도 많았다. 혼자 다시 읽을 엄두가 나지 않았는데 정말 운 좋게, 딱 그 때 해당 서적의 저자인 웅모님이 스터디를 여셨다.
3월 부터 12주 간 매주 수요일에 팀 별로 읽은 부분에 대해서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스터디 중간 웅모님이 들어오셔서 질의응답도 해주셨다.
아는 만큼 얻어갈 수 있는 스터디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역시나 그랬다. 웅모님은 우리가 질문한 모든 것에 자세히 설명해주셨으나,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내 모습을 보고 올해 다시 정독하기로 목표를 세웠다.
2회 독을 하니 처음 보는 내용도 많았고, ‘아 그때 이게 이 내용이었구나’라고 깨달은 부분도 많았다. 그리도 스터디를 할 때 작성했던 글들을 대폭 수정하기도 했다. (아직 수정이 필요한 글들도 많다..)
자바스크립트와 친해지기 프로젝트는 현재진행중이며 내년에도 2회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글또는 6개월 간 2주에 한 번씩 글을 작성하는 ‘글 쓰는 개발자 모임’이다. 글또 시작때 다짐했던 ‘한 번도 패스를 쓰지 않고 모두 작성하자’는 목표는 이루었다. 다만 한 번 깜빡하고 제출 이모지를 누르지 않아 보증금은 다 못받는건 상당히 아쉽다. (이때가 프로젝트 때문에 몇 주 야근하면서 틈틈히 작성했던거라 엄청 뿌듯했었는데ㅠㅠ.. 다음을 노려본다)
글을 쓸 때 항상 ‘어떻게 하면 내 글을 처음 읽는 사람이 막힘없이 읽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쓰지만, 늘 어렵다. 가끔 무작위로 예전에 썼던 글도 읽어보는데, 왜 이렇게 썼는지 모를 글들이 너무나 많아서 틈틈히 수정중이다.
거창하진 않다. 무지성매매를 하지 않기 위해 차트 공부를 시작했고, 매매일지를 작성해야겠다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마음에 드는 서비스가 없어서 trading-log를 만들었다.
이때 파이어베이스를 처음 사용해봐서 생소했다. 게다가 초기세팅하고 한동안 안 들어간 동안 파이어베이스 api 스펙이 바뀌어서 당황하기도 했었다. 그리고 간단하게 validation 체크를 위한 라이브러리도 배포해보면서, 오픈소스에 발자국만 남겼다.
사실 아직 진행중인 프로젝트이지만, 배포하지 않으면 영영 못 끝낼 것 같아서 최소한의 스펙만 먼저 배포했다. 시간 날때마다 이것저것 추가해볼 예정이다.
이 외에 팀 프로젝트도 몇 개 해봤지만, 제대로 마무리 한 프로젝트가 없었다. 지금 진행중인 팀 프로젝트도 있는데, 내년에 꼭! 배포했으면 좋겠다.
2022년은 내 커리어를 보다 더 단단하게 다져보는 해로 만들고 싶다.
좋은 기회가 왔을 때 바로 잡을 수 있을만큼 실력을 키우고 싶다.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싶은건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Three.js이며, 올해처럼 나만의 템포를 유지하면서 꾸준히 무언가를 하고 싶다.